맨위로가기

8 플로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8 플로라는 1847년 J. R. 하인드에 의해 발견된 소행성이다. 로마 신화의 꽃, 봄, 풍요의 여신 플로라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플로라족 소행성의 모체이다. 표면은 규산염 암석과 니켈-철 금속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L 콘드라이트 운석의 모체일 가능성이 높다. 8 플로라는 관측 과정에서 별로 오인되거나, 엄폐 현상을 보이기도 했으며, SF 영화에 등장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7년 발견한 천체 - 7 이리스
    7 이리스는 1847년 존 러셀 힌드가 발견한 소행성으로, 무지개 여신 이리스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밝은 표면과 특정 물질들로 구성된 S형 소행성으로 분류되고, 2024년에는 물 분자가 발견되었으며, 그리스 색상 이름의 크레이터 8개를 가지고 있다.
  • 1847년 발견한 천체 - 6 헤베
    1847년 헨케가 발견한 여섯 번째 소행성 6 헤베는 가우스가 명명한 젊음의 여신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한때 H 콘드라이트 운석의 모체로 추정되었으나 현재는 가능성이 낮고, 1977년 위성 "제베" 존재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미확인 상태이다.
  • 플로라족 - 4001 프톨레마이오스
    플로라족에 속하는 S형 소행성 4001 프톨레마이오스는 소행성대 내부 주띠에서 태양을 공전하며 약 3년 6개월 주기로 돌고, 2세기 그리스-로마 천문학자 클라우디우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그의 알마게스트는 오랫동안 천문학계를 지배했다.
  • 플로라족 - 951 가스프라
    951 가스프라는 S형 소행성으로, 갈릴레오 탐사선에 의해 근접 촬영되었으며, 감람석이 풍부하고, 72° 기울어진 자전축으로 약 3.29년 주기로 태양을 공전한다.
  • 로마 신화 이름이 붙은 소행성 - 세레스 (왜행성)
    세레스는 소행성대에서 가장 큰 천체로, 행성과 소행성으로 여겨지다 2006년에 왜행성으로 분류되었으며, 돈 탐사선 탐사 결과 얼음 화산 활동 흔적과 소금물 바다 존재 가능성으로 과학적 관심을 받고 있다.
  • 로마 신화 이름이 붙은 소행성 - 4 베스타
    1807년 하인리히 올베르스가 발견하고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가 명명한 4 베스타는 소행성대에서 네 번째로 발견된 소행성이자 분화된 내부 구조와 레아실비아 크레이터를 포함한 다양한 지형적 특징을 가진 두 번째로 무거운 천체이며, 2011년 탐사선 돈의 관측을 통해 지질학적 역사와 구성 성분에 대한 정보가 밝혀졌다.
8 플로라
개요
명칭플로라
형용사플로리안 (Florian)
발음IPA(영어): /ˈflɔːrə/
이름 유래플로라
소행성 분류소행성대 (주요 벨트), 플로라족
발견
발견자J.R. 하인드
발견일1847년 10월 18일
MPC 명칭(8) 플로라
궤도 특성
궤도 기준2024년 3월 31일 (JD 2460400.5)
궤도 장반축2.20 AU (3억 2900만 km)
근일점1.86 AU (2억 7800만 km)
근일점 통과 시점2024년 2월 1일
원일점2.55 AU (3억 8100만 km)
궤도 이심률0.15650
공전 주기3.27년 (1192.84일)
궤도 경사5.889°
승교점 경도110.87°
근일점 인수285.6°
평균 궤도 운동317.3°
최소 궤도 교차 거리0.87 AU (1억 3000만 km)
근일점 변화율32.017
승교점 변화율−35.51
물리적 특성
차원136 × 136 × 113 km
평균 직경146 ± 2 km
납작률0.18
질량4 ± 1.6 × 10¹⁸ kg
밀도2.4 ± 1.0 g/cm³
자전 주기0.533일 (12.799시간)
알베도0.224 (계산)
스펙트럼 분류S형
겉보기 등급7.9 ~ 11.6
절대 등급6.61
각지름0.21" ~ 0.053"

2. 발견과 명명

플로라는 1847년 10월 18일 영국의 천문학자 존 하인드가 발견했다. 하인드는 같은 해 8월 13일 7 이리스를 발견했으며, 플로라는 그가 발견한 두 번째 소행성이었다.[1]

플로라라는 이름은 영국의 천문학자 존 허셜이 제안했다. 이름은 로마 신화의 꽃, 봄, 풍요의 여신 플로라에서 유래했다.[4][6] 그리스 신화에서 플로라에 해당하는 여신은 클로리스이며, 소행성 410 클로리스도 존재한다. 8 플로라는 그리스어로 8 클로리스 (8 Χλωρίς)라고도 불린다.[4]

8 플로라의 이전 상징 기호는

등 여러 가지 형태로 표현되었으며,[5] 유니코드 17.0에 U+1CEC2 𜻂 (--)로 포함될 예정이다.[5]

3. 특징

플로라는 플로라족 소행성의 모체이며, 이 군 전체 질량의 약 80%를 차지하는 가장 큰 구성원이다. 플로라는 충돌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파괴된 조각들의 중력적 집합체일 가능성이 있다.

8 플로라의 궤도와 지구, 화성, 목성의 궤도 비교

3. 1. 물리적 특성

광도 곡선 분석에 따르면 플로라의 극점은 황도 좌표 (β, λ) = (16°, 160°)를 가리키며, 10°의 오차 범위를 가진다.[21] 이는 플로라의 자전축 기울기가 78°임을 의미한다.

플로라는 플로라족 소행성들의 주체이며, 군 질량의 80%를 차지한다. 플로라는 충돌에 의하여 생겨났다.

플로라의 스펙트럼으로 표면이 규산염 암석과 니켈-철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플로라와 플로라 군은 L형 콘드라이트 운석으로 이루어져 있다.[22] 이런 운석은 지구를 때리는 운석의 38%를 차지한다.

3. 2. 구성 성분

플로라의 스펙트럼 분석 결과, 표면은 규산염 암석(휘석, 감람석 포함)과 니켈- 금속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다.[22] 플로라와 플로라족 소행성들은 L 콘드라이트 운석의 모체일 가능성이 높다.[7] L형 콘드라이트는 지구에 낙하하는 운석의 35%를 차지한다.[8]

4. 관측

8 플로라는 여러 차례 관측되었다. 1917년 3월 25일, 8 플로라는 15등급의 별인 사자자리 TU로 오인되어 U 제미노룸 격변 변광성으로 분류되기도 했다.[9] 당시 플로라는 충에 도달하기 40일 전이었다.[9] 이 오류는 1995년에 밝혀졌다.[9][10][23][24]

2005년 1월에는 일본 미에현에서, 2013년 7월 26일에는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8 플로라에 의한 엄폐 현상이 관측되었다.[11]

4. 1. 오인

1917년 3월 25일, 관측 도중 8 플로라는 15등급의 별인 사자자리 TU로 오인되었고, 이로 인해 해당 별은 U 제미노룸 격변 변광성으로 분류되었다.[9] 플로라는 40일 전인 1917년 2월 13일에 충에 도달했다.[9] 이 오류는 1995년에 밝혀졌다.[9][10][23][24]

4. 2. 엄폐

2005년 1월 일본 미에현에서 엄폐가 관측되었다.[11] 2013년 7월 26일, 8.8등급의 플로라가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별 2UCAC 22807162를 엄폐했다.[11]

5. 대중문화

1968년 일본미국의 합작 SF 영화 《감마 3호 우주대작전(원제: The Green Slime)》에서 플로라는 궤도 섭동으로 인해 지구와 충돌하는 소행성으로 묘사된다.[23]

참조

[1] 논문 VLT/SPHERE imaging survey of the largest main-belt asteroids: Final results and synthesis 2021
[2] 논문 Astrometric masses of 26 asteroids and observations on asteroid porosity. 2011
[3] 서적 Asteroids II University of Arizona Press 1989
[4] 웹사이트 The Brightest Asteroids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Unicode request for historical asteroid symbols https://www.unicode.[...] Unicode 2023-09-26
[6] 웹사이트 Proposed New Characters: The Pipeline https://unicode.org/[...] The Unicode Consortium 2023-11-06
[7] 간행물 The Flora Family: A Case of the Dynamically Dispersed Collisional Swarm? 2002
[8] 서적 The Catalogue of Meteorites Natural History Museum 2020-05-28
[9] 간행물 TU Leonis = (8) Flora: the non-existence of a U Geminorum star 1996-08
[10] 웹사이트 IAUC 6174 http://cbat.eps.harv[...]
[11] 웹사이트 Asteroid Occultation Index Page https://archive.toda[...]
[12] 웹사이트 小惑星日本語表記索引 : 1 - 50 http://planetary.jp/[...] 日本惑星協会 2019-03-09
[13] 서적 天文年鑑 2019年版 誠文堂新光社
[14] 저널 Shapes and rotational properties of thirty asteroids from photometric data http://www.rni.helsi[...] 2010-09-08
[15] 웹인용 Recent Asteroid Mass Determinations http://home.earthlin[...] Personal Website 2008-11-27
[16] 저널 Determination of asteroid masses http://www.aanda.org[...] 2008-11-10
[17] 문서 Michalak2001 assumed masses of perturbing asteroids used in calculations of perturbations of the test asteroids.
[18] 서적 Asteroids II University of Arizona Press 1989
[19] 웹인용 The Brightest Asteroids http://jas.org.jo/as[...] 2007-07-16
[20] 저널 Rotational spectral variations of asteroid (8) Flora: Implications for the nature of the S-type asteroids and for the parent bodies of the ordinary chondrites 2008-11-27
[21] 저널 Shapes and rotational properties of thirty asteroids from photometric data http://www.rni.helsi[...] 2010-09-08
[22] 저널 The Flora Family: A Case of the Dynamically Dispersed Collisional Swarm?
[23] 저널 TU Leonis = (8) Flora: the non-existence of a U Geminorum star http://adsabs.harvar[...]
[24] 웹인용 IAUC 6174 http://cfa-www.harv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